Skip to content

길버트컴플라이언스

공공기관 CP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CP), 청렴윤리경영컴플라이언스(K-CP)

지난 몇 년, 국제적으로 공공기관에 대한 청렴윤리 및 준법 기준들이 강화되면서 국내 정부기관들도 꾸준히 관련 정책을 발표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해왔습니다. 이미 기획재정부에서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윤리경영모델을 제안하거나 ESG공시 항목을 확대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였으며 국민권익위원회에서는 ‘2023년 반부패청렴정책 중점 추진 과제’로 이전보다 더 넓은 분야의 공공부문 부패문제를 바로잡기 위한 제도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국내에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제도적으로 운영하는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으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ʻ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CP)ʼ과 국민권익위원회의 ʻ청렴윤리경영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K-CP)ʼ 가 있습니다. 모든 CP기준에는 ‘필수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공정거래CP와 K-CP는 서로 다른 기준을 갖고 있지만 K-CP가 중요하게 다루는 반부패의 주된 내용이 ‘공정거래 리스크 대응’이라는 점에서 두 프로그램은 많은 부분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미 국내 공공기관들은 윤리경영, 인권경영, 상생협력과 관련된 여러가지 평가, 시스템 운영, 보고 등을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모든 것을 신경쓰기에 전문 인력 및 비용이 부족하지만 그럼에도 업무실적을 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저희는 이를 해결하고자 공공기관의 CP체계를 확립하고 공공기관이 의무적으로 필요로 하는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CP업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추천 서비스

리스크평가, CP운영기준·자율준수편람 마련, 운영계획 수립 까지 CP운영의 필수조건을 충족하는 CP구축을 의미합니다.  (소요기간: 2~3달)

더보기

공공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공정거래 및 윤리 리스크 평가를 시행합니다.

더보기

CP를 운영하는 모든 기관은 CP운영기준 및 자율준수편람을 구비하고 있어야 합니다. 나아가, 이러한 지침들은 기관의 외부환경이 바뀜(법 개정, 의식변화 등)에 따라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개정하도록 CP가이드라인 권고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공정거래위원회 출신 강사들로 구성된 공정거래 관련법 교육 및 CP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그외 서비스는 상단의 ‘서비스’ 또는 메인페이지의 ‘브로션 다운받기’를 참고해주시기바랍니다.
**서비스 비용과 관련해서는 ‘문의하기’를 통해 별도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결합상품 구매시 할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상품 예시. A: CP운영규정 제.개정+CP편람 제.개정 B: 리스크평가+CP편람 제.개정 C: CP편람 제.개정+ CP 효과성 평가 D: CP교육 연 2회 및 교육평가)

[공공기관 CP운영 목표 (예시)]

여러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수록 보다 체계적인 내부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이미 어느정도 체계를 갖춘 기관이라면 기존의 체계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운영 할 수 있도록 다시 한 번 정비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공공기관 ESG 경영, CP운영이 핵심입니다.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 Compliance Program 은 조직이 여러가지 규제 및 윤리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궁극적으로 조직 내에 자율준수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ʻ내부준법프로그램 (또는 시스템)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법을 지키는 것을 넘어 조직이 앞으로 마주할 여러 규제적 변화에도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얻어 지속적인 경영 활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미 국제사회에서는 오래전부터 공공기관에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 운영을 권고해왔으며 현재는 E(환경), S(사회), G(거버넌스)와 관련한 이슈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툴 Tool 로서 ESG경영을 실현시키는 수단으로 운영하도록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