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길버트컴플라이언스

효과성 평가

EFFECTIVENESS EVALUTION

효과성 평가란?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운영중이라면 과연 그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효과성 평가’를 실시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1년간의 CP 운영을 마치고 마지막 단계에서 효과성 평가를 시행하여, 그동안의 운영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점을 찾고 이를 내년 CP 연간운영계획을 수립할 때 참고합니다. 

방법론 (Methodology)

효과성 평가를 구성하는 것은 가이드라인(목표 기준 e.g. 국내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CP) 등급평가) 마다 요구하는 것이 달라 하나의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선시 되는 것은 조직이 운영중인  CP가 기본적인 체계를 갖추었는지(진단)를 점검하는 것이며, 그 외 실질적으로 CP가 운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도록 합니다. 여기에는 모니터링 및 감사, 설문을 통한 임직원 인식도, 교육 실적 등이 포함 될 수 있습니다. 

가끔 효과성 평가를 만족도 조사로 대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효과성 평가의 뜻과 목적을 생각한다면 그것은 결코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효과성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기업들이 고려할 수 있는 효과성 평가의 기준들 입니다. 

CP기준 충족 여부

목표 달성도

교육 효율성

임직원 인식 개선도 등

길버트컴플라이언스(GC)는 자체적인 효과성평가 툴을 활용하여 고객사의 현 CP가 실질적으로 효과적인지를 평가합니다.